동적검영법을 실무에서 활용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조절래그 또는 조절이상을 타각적으로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법이다. 외안근의 불균형과 단안의 조절력을 추가로 검사하면, 조절과 폭주의 상호작용(상관관계)을(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중략)
아래에 정리한 내용은 다음의 서적을 참고하였습니다. 1) 양안시 처치 및 관리 (마기중, 장만호, 김재도, 대학서림), 2) 임상검안과 안기능이상 처방 (김재도, 신광출판사), 3) 시기능 검사와 분석 - 미국식 21항목 검사 (김진구, 박동욱, 신광출판사), 4) OPTOMETRY 안경광학 (성풍주, 대학서림)... (중략)
조절부족이 조절과 폭주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인지(양안시가 개입된 것인지), 조절 자체의 원인인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단안시 상태에서 조절력을 검사해서 구분할 수 있다. 조절력과 조절용이검사(플리퍼 사용)를 단안과 양안에서 각각 검사한다. MEM은 높고, 안위는 정상이고, - 사위는 없고, - 조절력이 낮고, 마이너스 조절용이는 통과하지 못하거나 시간이 걸리면, 조절부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생략)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감사합니다.
새로운 시각의 아이웨어 토털서비스 KE안경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