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웨어
  • 눈검사
  • 매장안내
  • 예약안내
    HOME I LOGIN I SITEMAP
 
 
제목 : 근시와 가성근시
작성자 : admin 첨부파일 : 조회수 : 4975
... 우리 아이 근시가 가성근시였으면?

A. 근시

종류
눈의 굴절이상(도수)상태 기준은 정시입니다. 정시는 5m 이상의 원거리에 있는 물체의 상을 아무런 조절 작용 없이 망막에 선명하게 맺을 수 있습니다. 이때 눈에 별다른 이상이 없다면 시력은 1.0 이상입니다.
근시란 가까운 곳은 잘 보이지만 먼 곳이 잘 안보이는 눈의 상태입니다. 초점이 망막앞에 맺힐 때를 말합니다. 크게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굴절성 근시는 각막 또는 수정체의 굴절력이 강한 경우이고, 축성 근시는 안축이 긴 경우입니다. 몸이 성장할 때 안구도 커지므로 축성 근시는 대부분 진행성입니다.

원인과 보정/교정 방법
근시는 유전적 원인과 장시간의 근거리 작업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에 대해서 아직 밝혀진 것이 없으며 속시원한 치료 방법도 없습니다. 특히 눈체조, 눈운동, 약물과 음식, 안경 등의 방법으로 근시 진행을 억제하거나 회복시킬 수는 없습니다. 정확한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것이 근시의 시력 보정 방법입니다.
0.7 이상의 시력이면 일상 생활에 큰 불편을 주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칠판글씨가 잘 안보이는 학생, 교통표지판이 잘 안보이는 운전자의 경우에는 요구되는 시생활과 직업의 필요에 따라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로 보정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근시 검사는 조절하지 않는 상태에서 실시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평소에 신뢰하는 안경원 또는 안과에서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20세 이상의 성인 중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착용이 힘든 경우에는 근시교정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각막의 성형수술이므로 도수의 과/저교정, 난시미교정, 양안불균형 등으로 수술후에도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다시 착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검사 방법
시력 검사는 검사실의 거리, 밝기, 협조 정도(눈 찡그림), 횟수(동일한 시표 사용시) 등에 의해서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시력은 하루 중에도 변동이 있습니다. 따라서 눈이 긴장(조절)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수 검사를 동시에 실시해야 합니다. 검사자가 검사를 정확하게 하면, 학생이 안경을 쓰고 싶어서 시표를 잘 읽지 않는 경우도 판별할 수 있습니다. 시력검사는 검사받는 사람이 잘 보이는지 표현해줘야 확인할 수 있지만, 검사자가 말로 묻지 않고 실시하는 도수 검사는 결과를 통해 시력까지 예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험많은 검사자의 효과적인 검사는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 유아나 외국인의 안경처방도 가능하게 합니다. 그리고 일시적인 근시도 약물검사 없이 비교적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B. 가성근시

원인과 검사방법
가성근시는 과도한 근거리 작업에 의해 발생하는 일시적 근시상태입니다. 가까운 곳을 볼때 카메라의 줌 기능처럼 눈 속에 있는 수정체의 조절 효과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너무 장시간 가까운 곳을 보면 눈 속의 조절 근육이 일시적으로 굳어지는 상태입니다.
가까운 것 뿐만 아니라 먼거리에서도 조절을 해야 하는 약한 원시나 난시의 경우에 오히려 가성 근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시 증상을 처음으로 호소하는 학생의 경우에 안과에서는 조절 마비제 안약을 눈에 넣은 다음에 검사를 합니다. 그리고 전반적인 눈 상태를 동시에 진료하게 됩니다.
약한 근시가 심한 근시로 검사되는 경우도 간혹 있으나 대부분은 효과적인 검사 방법을 통해 가려낼 수 있습니다. 실무에서도 기계근시와 가성근시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동검안기는 눈으로 볼 수 없는 적외선 광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실제 눈의 도수와는 약간의 오차가 있습니다. 눈의 도수보다 자동검사의 도수가 높게 측정되는 것은 기계근시라고 부르는 것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왜냐하면 기계근시는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수동검사 또는 운무법을 이용한 자각검사에서 충분히 가려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조절근육이 굳어진 가성근시는 드물다고 합니다. 근시에 대한 조절마비검사에서 도수가 다소 감소(S-0.50D 이하) 되지만, 그 이상의 - 가성근시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의 - 도수 차이는 보기 드물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망막수술을 받거나 당뇨가 조절되지 않거나 백내장이 진행할 때 성인에게서도 근시 도수로 변화될 수 있습니다.

시력 보호
근시를 예방하거나 진행을 억제하는 방법은 아직 없습니다. 평상시의 시력 보호를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적당한 운동과 올바른 식습관으로 몸을 건강하게 유지합니다.
2. 눈의 피로를 줄입니다.
-- 독서, 컴퓨터, TV 시청할 때 휴식시간을 갖고 바른자세와 적절한 조명을 유지합니다.
3. 만 3세부터 정기적인 시력검사를 받습니다.
-- 특히 시력이 발달되는 시기에 부모님의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후에도 학생의 경우에는 6개월에 1회씩 시력검사를 하여 눈의 도수와 시력의 변화 여부를 확인합니다.

새로운 시각의 아이웨어 토털서비스 KE안경원

 
   
  개인보호정책 | 온라인상담문의 | Q&A (주)케이아이웨어 / Korea Eyewear & Service Corporation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573-10 로이어즈타워 3층 / 전정현
TEL (02)582-3180 / FAX (02)582-3179 / 사업자등록번호 : 214-88-05752
COPYRIGHT(C) 200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