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제목 : 자각적 굴절검사는 또 하나의 타각적 굴절검사 |
작성자 :
admin
|
첨부파일 : |
 |
|
조회수 : 4398 |
|
|
굴절검사의 중용 -- "자각적 굴절검사는 또 하나의 타각적 굴절검사이다."
자각적 굴절검사(이하 자각검사)는 안경사의 질문과 고객의 답변(판단)에 의해서 굴절이상(눈도수: 근시, 난시, 원시 등)을 평가합니다. 단계적으로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검사항목을 순서대로 진행합니다. 도수를 조정하면서 시표의 선명도를 확인합니다. 이때 고객마다 보이는 상태를 다르게 표현하므로, 2~3가지의 객관식 답안을 미리 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검사방법에 대한 고객의 이해도를 높여 주고 검사오차를 줄여 줍니다. 애매한 표현을 줄이고 되도록 간결하게 질문합니다. 예상 답안을 제시할 수 없는 검사항목에서는 고객의 표현에 주목하되, 그 자체에 너무 집중해서는 안됩니다. 말로 표현하지 않은 반응도 살펴봐야 합니다.
구안경의 교정상태, 굴절검사기(자동, 수동)와 각막곡률계 등의 측정값 등을 분석하면 그 안에 새로운 처방안이 담겨 있습니다. 따라서 자각검사에 앞서 타각검사(타각적 굴절검사)의 자료를 꼼꼼하게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각검사란 눈이 느끼는 도수를 확인하는 것이지, 눈의 도수를 측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조절휴지상태의 도수를 평가하려면 조절마비하 굴절검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하지만 동공이 산대되고 조절력이 마비된 상태에서는 자각검사를 진행할 수 없으며, 타각검사만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자각검사는 조절력, 동공크기, 눈물량, 연령, 안질환 등과 같이 도수 이외의 요소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습니다.
자각검사의 결과는 안경처방을 위한 하나의 데이터(측정값)에 불과합니다. 이것을 안경처방의 기준(절대값)으로 삼는 것은 무리한 결정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적응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무의도적으로 책임의 일부를 고객에게 전가하는 구실로 삼을 수도 있습니다. 자각검사와 장용검사의 결과만을 근거로 처방한다면, 고객 답변의 정확성이 새안경의 만족도를 좌우한다는 말과 다르지 않습니다. 고객의 개별적인 의견을 토대로 한 검사결과를 무조건적으로 객관화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조절을 충분히 억제하지 못한 상태에서 진행한 자각검사는 눈도수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뿐입니다.
자각검사를 타각검사의 한가지 종류로 인식하는 것은 안경처방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 타각검사는 자각검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자각검사는 타각검사의 오차를 보정합니다. (2) 타각검사는 자각검사의 설득력을 높이고, 자각검사는 타각검사의 정확성을 증명합니다. 두가지는 서로 상반된 주장입니다. 자각검사를 중시하는 (1)의 시각에서 보면, 운무법을 활용한 자각검사는 조절을 허용하는 타각검사(자동굴절검사기)보다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2)의 시각에서 보면, 조절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타각검사(수동굴절검사기)는 자각검사보다 신속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굴절검사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타각검사(자동,수동)와 자각검사를 효과적으로 연동시켜 상호보완적인 기능을 발휘해야 합니다.
자각검사는 선명한 교정시력과 편안한 처방도수를 찾아가는 과정입니다. 자각검사는 시표의 선명도(문자,방사선), 색상(적녹), 위치(편광필터), 잘 보이는 눈(S+0.75D) 등이 반전되는 지점을 구분하면서 도수를 확인합니다.* 자각검사의 측정값은 타각검사와 비교하거나 안경처방에 직접 적용하기도 합니다. 타각검사의 측정값도 마찬가지로 활용됩니다. 두가지 검사결과를 평가함에 있어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아야 합니다. 타각검사 기기를 다양하게 사용하고 자각검사에 필요한 의사소통의 기술을 꾸준히 단련시킴으로써, 굴절검사의 정확성과 반복성을 높여가야 합니다.
* 수동 타각검사(검영법)와 수동 안위검사(프리즘커버테스트)의 경우에는 반사광선 또는 시선의 동행과 역행을 구분해야 반전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KE안경원 홈페이지 눈검사 자료실 49번 글, "타각적 굴절검사와 타각적 안위검사" 를 참고하세요.
새로운 시각의 아이웨어 토털서비스 KE안경원
|
|
 |
|
|
|
|
|
|
|